총경 [總警 / Senior Superintendent, Police Superintendent]
경찰공무원에 대한 정보 공유
1. 총경이란?
한국 경찰의 5번째 상위계급으로 계급장은 무궁화 4송이이며, 중앙부처, 광역자치단체 과장급인 일반직 4급 서기관에 대응된다. 중심경찰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찰서장이 해당 계급이다. 국군의 대령, 소방의 소방정에 대응하는 계급으로 볼 수 있다. 총경의 계급정년은 11년이다.
경찰공무원법상 총경에 관한 임용권은 승진, 신규임용만 대통령이 행하는 경정과 달리 모든 임용권이 대통령의 임용권 행사로 이루어진다.
2. 승진
총경 계급부터는 오로지 심사를 통한 승진으로만 오를 수 있다. 출신에 따른 일종의 쿼터제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인사를 살펴보면 2022년 총경 진급자 기준 경찰대학(356명)>>경찰간부(151명)>>>>고시(21명, 고시 출신 자체가 적어 진급률은 낮은 편이 아니다.) 출신순이고 순경 출신은(81명) 극소수이다.
총경 승진이 매우 힘든 이유는 2022년 기준으로 경정이 2,800여 명, 경감이 13,000여 명, 경위가 50,000여 명인 데 반해 총경의 정원은 600여 명으로 총경 승진자는 1년에 100여 명도 안 된다.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상관의 눈치를 많이 보고 본청 간부들에 대한 인사청탁이 만연해 있다. 경정의 계급정년은 14년인데 보통 경정 8년차에 총경 승진을 시도하며 11년차 정도까지 승진 가능 인원에 포함된다. 여기서 실패하면 그냥 옷 벗는다고 보면 된다.
총경의 윗 계급인 경무관부터는 주로 시·도경찰청 단위에서 근무하며 정원도 극히 적어지기에 경무관부터는 소수의 뜻 있는 사람들만 승진을 준비하고 총경 상당수가 총경에서 경찰생활을 마무리 하게 된다. 물론 총경은 굉장히 출세한 축에 들고, 퇴직하면 연금 등도 상당하므로 정착한 동네에서 꿀리지 않게 말년을 보낼 수 있다.
순경으로 입직하여 총경까지 승진한다면 전설로 회자될 정도이다. 군대에서 부사관이 간부사관으로 대령 달기, 대기업 고졸채용자가 이사급 인사가 되는 것과 비슷하다. 순경 출신 총경들도 실상은 재직 중 다시 간부후보생 시험이나 고시에 합격해서 간부가 된 경우가 많다. 다만 101경비단 같은 승진이 빠른 보직에서 시작해서 특진에 특진을 거듭하면 총경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
3. 보직
총경의 주요 보직은 경찰서장이며, 계급의 사회적 위상이 높은 편이다. 이는 일반직공무원 4급 기관장과 비교해서 권력기관인 경찰의 위상이 높은 탓이라고 볼 수 있다.
경찰서의 서장 이외에 총경으로서 주어지는 주요 직위는 경찰청 및 시·도경찰청의 과장이다. 책임이 결코 작지 않은 데다 지역의 치안을 총괄한다는 점에서 경찰 간부의 핵심이라고도 볼 수 있다. 서울청 특공대 등 몇몇 지역의 특공대, 기동단, 101경비단, 제주해안경비단 등 직할대의 지휘관을 맡기도 한다.
경찰청 본청에는 고공단 나급 일반직 또는 경무관이 맡는 감사관과 정보화장비정책관 등의 밑에서 담당관을 맡는다. 정보화장비정책관 밑에서는 정보화장비기획담당관, 장비담당관을 맡는다. 감사관 밑에서는 감찰담당관, 감사담당관, 인권보호담당관 등을 맡는데 업무가 내부통제적 업무다 보니 동료들도 껄끄러워할 수 있는 보직들이다.
기획조정관 밑에서 기획조정담당관이나 재정담당관을 맡기도 하며 경무인사기획관 밑에서 경무담당관, 인사담당관, 교육정책담당관, 복지정책담당관 등을 맡기도 한다. 경찰도 승진 적체나 계급 정년 등으로 인해 인사가 중요시되다 보니 인사담당관도 요직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 과학수사관리관 밑에서 과학수사담당관, 범죄분석담당관을 맡기도 한다.
또한,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에 디지털포렌식센터가 있고, 경비국에 위기관리센터가 있는데, 이곳들의 센터장을 총경이 맡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 경찰정책관이 이 계급이며(자치총경), 해양경찰청에서는 5,000톤급 삼봉급 함장 / 해양경찰서장 /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서해5도특별경비단장. 중앙해양특수구조단장 / 해경청 대변인, 과장급으로 근무한다.
총경은 승진시 비서울권 지방청으로 가서 1년 ~ 1년 6개월 참모직위를 거친 후 경찰서장을 약 1년 하게 되며 보통 이때까지 치안정책교육과정을 갔다 온다. 이후에는 잘 나가는 총경들은 서울권으로 올라와서 참모나 기동단장을 하고 서울에서 서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잘 풀릴 경우 계속 서울권에서 서울특별시경찰청과 본청을 돌며 경무관 승진을 노릴 수 있으며 빠르면 6년차부터 승진을 하게 되며, 나머지는 소수만이 운 좋게 지역안배에 의해 승진하거나 지방을 돌다가 총경으로 퇴직하게 된다.
4. 공무원 보수규정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