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무사/간호조무사 [看護助務士 / Nurse Assistant]
간무사/간호조무사에 대한 정보 공유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간무사/간호조무사에 대한 정보 공유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간무사, 간호조무사(看護助務士, Nurse Assistant 또는 Korean Licensed Practical Nurse Associatio (KLPN))는 자격을 갖고 의사, 간호사의 지시 및 감독 하에 간호보조 및 진료보조 업무를 보조하는 사람을 말한다. 유사한 사례로 변호사와 회계사의 부족함으로 파생된 직종인 법무사, 세무사, 노무사 등이 있다. 이에 맞춰 간호조무사협회 등은 간호조무사나 간조사가 아닌 '간무사' 라는 명칭으로 부를 것을 홍보하고 있다.
1967년부터 간호보조원이라는 이름으로 배출되어 왔고, 이 시기에는 중졸 이상이면 가능했으나 1985년에 고졸 이상으로 학력이 상향되었고 1988년 간호조무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고등학교 졸업 후 간호학원 1년 과정을 수료하고, 780시간의 실습후 국가시험을 통과한 사람은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즉 거리에 흔히 보이는 간호학원은 간호사를 양성하는 곳이 아니다. 또는 특성화고등학교 보건간호과를 졸업해도 간호조무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참고로 간호사의 경우에는 간호대학 4년제 일원화 정책으로 인해 간호대학에서 학사 4년 과정을 이수하고, 국가고시를 통과한 자에 한해 '면허증'을 발급받는다.
명칭의 경우 간호조무사협회에서는 '간무사(看務士)'라는 약칭으로 부르지만, 대중적으로는 '간조사' 혹은 '간조', ''라는 약칭이 널리 쓰인다. 영어로는 'Nurse Assistant', 'Nurse Aide(NA)' 또는 Korean Licensed Practical Nurse Associatio (KLPN) 라고 칭한다. (* AN은 보조 간호사 로 번역되어 간호사 사칭 우려가 있다. )간무사의 자격은 「의료법」 제80조에 법적인 근거를 두고 있으나, 「」상 (Health Care Provider)에 속한다. 동법 제3조 제3호에서 '보건의료인'이란 '보건의료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격·면허 등을 취득하거나 보건의료서비스에 종사하는 것이 허용된 자'를 말한다. 의료인이나 의료기사 또는 가 아니면서 보건의료인에 해당하는 다른 예로는 , , , , , , 등이 있다. 간무사는 인 간호사가 아니기 때문에, 간무사가 아닌 간호사의 명찰을 패용하거나 간호사로서 활동하는 것은 위법이다. 영어로는 'Korean Licensed Practical Nurse Associatio (KLPN) 를 사용한다. 따라 대한간호조무사협회의 영문 표기는 'KLPNA' 를 사용한다. 간호조무사는「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상 가 아니며, 의료기사의 행위는 수행할 수 없다. 예컨대, 가 아닌 간호조무사가 환자의 촬영을 하는 것은 불법이다. 간무사가 간호사의 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이하의 에서만 허용되고, 급 이상의 의료기관에서는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이 경우에도 간무사가 모든 간호사의 업무를 대체할 수는 없다. 병원급 의료기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의 간무사는 의 지시가 있어야 간호보조, 진료보조 업무를 보조할 수 있으며, 수술실에서의 처치는 만, 수술실 에서의 처치보조는 만 가능하다. 간무사의 수술실 처치보조는 의료법 위반에 해당한다.
간호조무사, 간무사의 업무는 의료법 제80조의2(간호조무사의 업무)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간무사가 현장에서 실제로 수행하는 업무는 외래진료업무 협조, 간호업무 협조, 기본간호, 환경관리, 자기계발이라는 5가지 범주로 구분되며, 18개 항목으로 세부 분류된다.
외래진료업무 협조: 외래환자 안내, 외래진료 준비, 외래처치 보조, 외래검사 보조, 원무업무 지원, 문서관리 지원
간호업무 협조: 간호처치 보조, 환자상태 보고, 수술준비 보조, 물품관리 보조
기본간호: 위생간호, 환자 돌보기, 운동 및 활동 보조
자기계발: 업무능력 향상, 자기관리
간무사는 1차 의료기관 (의원급)에 한정하여 의사 지시에 따라 예방접종, 주사 등의 행위 등을 할 수 있다.
간무사는 요양병원의 당직의료인 자격이 없고, 야간 당직근무는 의료인 간호사 1명이 필수로 당직근무를 서야 의료법에 걸리지 않는다. 간호조무사는 의료인이 아니므로 당직의료인 직무를 수행하고 책임을 져야 하는 책임이 없으므로 단독 당직근무 시 의료법 위반에 해당 된다.
간무사는 간호사의 일반 의원급 1차병원/치과에서 근무 내용을 수행할 수 없으며, 전문 의료인의 지도하에 보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2014년 전국 201개의 치과병원에 종사하는 치과보조인력은 치과위생사 2,472명, 간호사 115명, 간호조무사 302명 등 총 2,889명으로 간호조무사는 약 11%를 차지하고 있다.
스케일링, 치아홈메우기, 교정용 호선 장착, 치아 석고 모형, 구강 엑스레이 촬영, 인상 채득(치아 본뜨기) 등은 치과위생사가 해야 한다.
주사행위, 투약, 체온 측정, 혈압 측정은 간호사가 해야 한다.
한의사의 감독하에 한의사가 침을 자입한 후 침병에 전기를 연결하고 자극 강도를 조절하는 행위, 한의사가 시술부위를 지정한 후 지정된 부위에 부항기를 부착해 건식부항을 하는 행위를 할 수 있다.
자격취득자: 2015년 12월 말 기준 64만 명
취업자수 15만여 명
2015년 3월 말 기준(공단, 심평원 자료), 장기요양기관 및 보육시설은 2014년 말, 산후조리원은 2008년 기준
취득자수
981,227
356,615
640,004
취업자 합계
303,794
154,861
150,491
의과 소계
251,345
143,531
140,222
-병원급 이상
42,975
27,675
25,112
-요양병원
38,689
17,374
21,315
-의원
75,395
14,008
61,387
치과 소계
15,922
561
15,361
-치과 병원
422
115
307
-치과 의원
15,500
466
15,054
한방 소계
16,785
2,620
14,165
-한방 병원
2,829
1,484
1,345
-한의원
13,956
1,136
12,820
보건기관 소계
8,249
5,367
2,882
-보건의료원
227
198
79
-보건소
3,698
2,659
1,039
-보건지소
2,394
639
1,755
-보건진료소
1,880
1,871
9
장기요양기관
11,423
2,779
8,644
산후조리원 및 조산원
0
0
2,103
보육시설 및 기타
0
0
596
자격시험 응시자격은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수적이다. 고등학교 졸업자라면 인가받은 학원에서 740시간의 교육과 780시간의 실습을 받고 국가고시에 합격할 경우 간호조무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교육과 실습의 1년 과정을 마치면 자격시험을 칠 수 있게 된다. 교육비는 2014년 기준으로 12개월 동안 년 250만 원 정도이다. 실습 기간 중에도 학원비를 납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수업 시간은 주 5일로 진행되며 주간반은 보통 9:30~16:00, 야간반은 17:30~22:00 같은 식으로 꾸려진다.
배우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물론 간호대학에서 배우는 '간호학' 과는 명칭과 종류가 비슷할뿐, 깊이와 내용은 실제로 많은 차이가 있다.
<기초의학, 기초 치의학, 기초 한의학>
해부학+생리학: 인체의 구조 및 명칭, 세포의 구성 및 분열과정, 골격, 근육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비뇨생식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감각계의 구조와 명칭, 각 장기의 기능
약리학: 약물의 형태, 관리, 작용, 효과등과 진정수면제, 항정신성약물, 순환계 약물, 항결핵제, 소화제, 각종응급약품, 예방접종등의 종류, 명칭, 인체에 미치는 영양, 약리작용
영양학: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지방, 무기질 등의 개념과 기능, 권장량, 영양과 에너지대사, 영양상태 평가와 관리, 병원의 식이요법 형태와 질병조절을 위한 특별식이
치과간호: 치과치료의 기본 원리, 치의학의 특성, 구강및 치아, 치아 주위의 해부학적 구조와 명칭, 진료실 및 치과의 기본 표준기구명칭, 관리, 진료보조방법, 치과조무사의 역할
한방간호: 한의학의 특징 및 개념, 한방간호서적및 역사, 음양오행설과 12정경맥과 8기경맥의 경락과 경혈개념, 병인론 및 진단법, 외치법과 각종 자연물리요법 등의 종류및 간호법
<기초 간호학>
간호관리학: 간호와 간호관리의 정의 및 세계와 우리나라 간호의 역사적 발달과정, 간호조직 원리, 직업윤리와 간호조무사의 태도, 의료기관의 기능과 업무, 한국간호사, 세계간호사 윤리강령
공중보건학: 보건행정/보건의료전달체계, 공공보건사업, 역학/전염병 관리, 환경보건/식품위생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보건/지역사회간호, 지역사회 간호활동/가족간호, 학교보건/모자보건, 가족계획/산업보건, 보건교육/인구와 건강
기본간호학: 편안한 환경 조성및 간호 기록법, 활력증상(혈압, 맥박, 호흡, 체온) 측정방법과 기록법, 내과적-외과적 무균술의 종류및 방법, 침상종류 및 만드는 방법
성인간호: 통증, 종양, 쇼크, 재활환자등의 일반적 특성및 간호법과 호흡기계, 소화기계, 내분비계, 간 담도계, 순환기계, 혈액계, 비뇨기계, 피부감각계, 뇌혈관계의 병태생리 및 간호법
모성간호(산부인과 간호): 여성생식기의 구조와 기능, 임신, 분만, 산욕기의 특성과 고위험 산모 및 분만의 특성 및 간호법, 산욕기의 관리와 산후 합병증
아동간호: 아동간호의 개요 및 목적 신생아, 영아기, 유아기, 아동의 발달 및 성장 특성, 질병관리, 고위험 입원환아의 간호법
응급간호: 응급간호의 이해, 응급의료체계의 특성, 응급환자의 구명 4단계, 심폐소생술, 상황별 응급처치, 이론 및 실기, 화상, 창상, 출혈, 교상, 중독, 골절환자등 응급처치법
노인간호: 노년기 개념, 특성, 신체적 정신적 변화, 노년기의 건강관리, 질병과 간호법 등
의료관계법규: 의료법/전염병예방법/구강보건법/정신보건법/결핵예방법/혈액관리법/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
<기타>
간호영어: 의학용어, 각 기관별 병명, 흔히 쓰이는 수술명, 의학약어, 해부학용어, 병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장 및 표현
취업교육: 이력서 작성 및 면접특강, 병원 고객 만족, 의사소통, 병원 리셉션 등
<실무교육>
실무교육은 해당 교육기관과 협약을 맺은 병원에서 이루어진다.
1개월: 간호관리, 기초치과. (+입학식, OT)
2개월: 기초한방, 기본간호학, 병원실기
3개월: 성인간호학, 해부생리학, 노인간호학, 약리학
4개월: 응급간호학, 보건간호학, 아동간호학, 공중보건학
5개월: 학과 과목을 과목별로 요약 정리. 병원 실기를 재교육. (+병원실습 상담)
7개월: 종합병원 실습 (2/2) - 종합병원 실습 400시간.
8개월: 의원급 병원 실습 (1/2)
9개월: 의원급 병원 실습 (2/2) - 의원급 병원 실습 380시간. (+실습 종료 후 취업 결정)
10개월: 과목별 총정리 (+국시 서류준비)
11개월: 과목별 총정리, 국시 기출문제집 풀이
12개월: 과목별 보충, 모의고사
13개월: 간호조무사 자격시험
가사계열 고등학교의 간호과를 졸업하면 간무사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1년에 2차례 시험을 실시한다. 2010년까지는 광역자치단체에서 시험을 주관하고 국시원에서는 문제 출제만 담당하였으나, 관련 규정 개정으로 2011년부터는 국시원에서 직접 시험을 주관한다. 합격하면 보건복지부 장관 명의로 된 자격증을 발급한다. 2016년까지는 시도지사 명의의 자격증이 발급되었으며, 지금도 유효하다.
기초간호학 개요 (35%): 성인·모성·아동·노인·응급 관련 간호의 기초, 간호관리, 기초 해부학, 기초 생리학, 기초 약리학, 기초 영양학, 기초 치의학, 기초 한의학
보건간호학 (15%): 보건교육, 보건행정, 환경보건, 산업보건
공중보건학 및 의료법규 (20%)
<공중보건학> 지역사회, 질병관리 사업, 모자보건, 인구와 가족계획 <의료법규> (의료법, 정신보건법, 결핵예방법, 구강보건법, 혈액관리법,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기'는 필기시험으로 이뤄짐 (30%)
피부미용과 학생들은 재학 기간 중에 대개 간무사 자격증을 취득해 놓는다. 피부미용과 졸업생들은 피부과 의원, 병원에서 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미용사(피부) 자격 역시 필수이다. 사회복지학과 남학생들 중에는 간무사 자격증과 졸업 후 나오는 사회복지사 2급을 활용해 정신병동 보호사로 취업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필수로 요구하지 않는 정신병원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바뀐 의료법상 병원의 총 병상 환자 수 대비 간호사/간무사의 필수 인원 기준이 있기 때문에 병원 측에서도 이 기준의 유지를 위해 자격증을 점차 필수 항목으로 요구하는 추세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간호인력은 100% 간무사 고용이 가능하다. 의료법에 따른 간무사의 업무는 간호사를 보조하여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것과 의사의 진료 보조 수행이지만, 의원급에 간호사 배치가 낮은 현실 때문에 의원급에 한하여 의사 지도하에서도 간호 보조 및 진료 보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급여 면에서도 저렴하고 병원급 이상에 비해 업무 위험도가 낮아서, 1차 병의원에서 간호사(RN)를 쓰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90% 정도가 간무사로 채워진다. 굳이 의원급에 간호사가 있다면 대개 원장의 배우자 등 가족이나 공동 경영인인 경우가 많다. 병원의 행정적 부분 및 물품 관리들을 총괄하면서 간무사의 업무 범위 이상 술기들을 종종 담당하는 것. 근무시간은 병원의 영업 시간에 따라 다르며, 휴가는 병원에 따라 1년에 2일~14일 정도 준다. 연봉은 연령대와 경력에 따라 다르다. 개인병원 간무사의 경우 19~35세 정도의 젊은 여성을 선호한다. 다만 인기가 있기 때문에 재취업이 쉬워서 병원 측에서 많은 일을 시키면 쉽게 그만두는 부작용이 있다. 예외적으로 비뇨기과나 정형외과, 정신과, 그 외 수술실 전담 NA의 경우는 거의 남자를 뽑는다. 반대로 35세 이상의 여성이나 기혼 여성의 경우 재취업이 어려워서 이직율이 낮다. 나이가 많은 간무사의 경우 주로 요양병원과 한의원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고연령층 내원이 많은 한의원에서는 환자 응대에 있어서 연륜이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내과 간무사의 경우 위 내시경을 보조해 줄 수 있으면 유리하다.
서비스 직무이니만큼 감정노동을 잘 할수록 유리하다.
원무, 사무를 볼 수 있으면 좋다.
병원급에서 일하는 간무사는 간호사의 지시하에 간호보조 행위를 할 수 있다. 사실 2~300병상씩 되는 병원일 경우 병동 근무라면 (간호사 지도하에) 한 스테이션에 수십 명 이상 환자가 딸려 있게 마련이라 바이탈 머신 및 린넨공급실 관리, 베드 메이킹 머신이 되고. 응급실 등 특수부서 소속이라면 여기저기로 환자 실어나르다 하루가 다 간다. 간호사들도 인력이 빡빡한 실정이라 스테이션 및 담당 병동을 벗어나기가 어렵고, 온갖 잡무에서 간호사의 손발이 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1차 의료기관처럼 주사를 찌르면 의료법 위반이다3차 병원에서는 중증도 높은 환자가 많으며, 고등 간호 지식과 환자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간호등급제에 의해, 일정 비율 이상의 간호사를 채용해야만 높은 수가를 받을 수 있다. 이런 저런 점 때문에 간호 인력의 약 90% 이상이 간호사로 이루어진다. 뽑아도 별로 좋은 대우를 해주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 상급종합병원에서는 간무사도 정규직으로 뽑고 높은 연봉을 줄 것 같지만, 간호사와 달리 간호조무사는 계약직이며 연봉으로 세전 2,520만 원을 지급하는 데다 정규직으로 전환되지 않는다. 간호조무사가 채용될 경우 일반적으로 담당하는 업무는 다음과 같다.
계약직 조무원: 병원에서의 잡무를 담당하며, 간무사 자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계약직 간무사: 유명 대학병원에서는 간호간병 통합병원이 있을 경우 다소간 많이 선발하며, 뽑을 경우 계약직이다.
계약직 간무사로 채용될 경우, 역할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수액 교체
혈압, 체온 측정
약품, 수혈용 혈액, 검체 운반
35세 이상의 간무사가 취업 안 된다는 뜻은 아니다. 개인병원(의원) 대신 요양병원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50대 중반에서도 취업 가능하기 때문에, 50대 아주머니들이 간호학원에 다니는 경우도 종종 있다. 야간근무를 할 경우 세전 2,200 정도이나, 불규칙한 3교대를 감수해야 한다. 요양원의 경우 교대 없이 주간근무만 하는 경우도 많다.
D: 08:00 - 16:00
E: 14:30 - 21:30
N: 21:30 - 다음 날 08:00
하는 일은 노인 투약지도, 욕창관리, 간단한 상처 처치, 다른 병원 진료시 동행, 간호계획서 작성, 간호 관리, 약품 관리, 노인 일상생활 도움 등이다. 청소부가 따로 없는 경우, 청소 업무도 추가된다. 요양원이나 작은 요양병원은 보통 기사가 따로 없으니 병원 진료 동행 시 운전도 본인이 해야 된다. 이 때문에 1종 운전면허를 우대한다. 요양병원 중에는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 '방사선사/임상병리사이면서 동시에 간호조무사를 소지한 이'를 찾기도 한다. 다만, 앞의 두 직종은 각각 전문대학 이상을 졸업해야 하므로, 자격 취득을 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걸린다. 남자 간무사 같은 경우는 요양병원 계열에선 응급 외진 등 운전이 많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면 병동에선 그다지 많이 선호하지는 않는 편이라 보통은 위에 서술된 정신병원 보호사로 빠지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정신병동 보호사는 여자 보호사를 많이 구하지 않는 편이다. 여성 보호사보다는 간호사의 일을 대신하는 간호조무사는 구하는 편. 게다가 중년 여성들의 경우 애초에 이 쪽 계열을 생각했다면 이보다는 하위 호환의 자격증인 요양보호사를 취득해 입문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런 사람들도 결국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따러 다시 학원에 가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왜냐면 요양보호사는 간호조무사보다 더 하게, 응급처치 외에 환자 몸에 어떤 의료/간호적 행위도 못 하게 규제돼 있기 때문, 요양병원 등에 취직해서 일하는 게 최선의 길인데 요양병원은 아무리 야매로 운영해도 최소한 간호조무사 자격은 따오기를 원하기 때문에 요양보호사 하나로는 쉽게 벽에 부딪힌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외래진료 협조
외래환자 안내: 환자 맞이하기, 진료실 안내, 검사실 안내, 진료 후 설명 (주의사항, 수납, 투약, 다음 내원일)
외래진료 준비: 환자 확인, 환자 인적사항을 진료기록부에 기입, 진료물품 준비
외래처치 보조: 내과, 외과, 소아과, 정신과, 산부인과, 치과, 한방과
검사 보조: 검사 확인 (환자명, 검사명), 검사물 채취 (객담, 배설물 등), 검사실로 검사물 보내기, 검사 준비 (물품, 환자), 내시경 검사 보조, 초음파 검사 보조
원무: 진료기록부 관리, 진료비 수납, 국민건강보험 청구
문서관리: 환자 관리대장, 업무일지
간호 협조
간호처치: 상처, 배설, 호흡, 위관영양, 냉/온요법, 좌욕, 입원환자 검사물 관리, 임종, 근육주사 (IM)
환자 상태 보고: 신체 계측치, 섭취량/배설량, 수면양상, 활력증후, 의식상태, 피부상태 (욕창), 운동 및 감각상태, 이상행동, 혈당 측정
수술 준비: 수술 전 처치 보조 (탈의, 장신구 제거, 면도), 환자 이송 보조
물품 관리: 세탁물, 소독품 교환, 소모품 확인, 비품 점검
기본 간호
위생: 기저귀 교환, 의복 갈아입히기, 산모, 등, 손톱/발톱, 목욕, 회음부, 눈/귀/코, 구강
환자 돌보기: 정서적 지지, 대소변 가리기, 의사소통, 도구적 일상생활, 병실 이용 설명, 식사, 프라이버시 지켜주기
운동 및 활동: 놀이요법, 음악요법, 원예요법, 보조기 사용 (휠체어, 지팡이 등), 보행유지, 체위변경, 관절운동, 조기이상
환경 관리
병원 감염 예방: 적출물 및 폐기물 관리, 전염성 배설물 관리, 격리/역격리, 손 씻기, 오염물품 분리, 물품 소독, 소독물품 관리
치료적 환경 유지: 병실 청결, 소음, 환기, 편안한 온도/습도, 편안한 조명, 침상 정리정돈
사고 예방: 미끄럼 낙상, 도난, 기타 사고 예방
자기계발
보수 직무교육 참여
업무 관련 교육 참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시키기
건강 관리
외모관리
시간관리, 자원봉사 등 기타
#woj #World of Jobs #job #간호조무사 #간호 #조무사 #간호업무 #의료보조직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의사 지시·감독하 간호조무사가 마취 주사를 놓는 것은 정당하다.
의료법에 의해 '간호사' 명칭을 쓸 수 없다. 간무사가 간호사, 전문, 간호인, 의료인 등의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는 의료인 사칭에 해당하며 불법이다. 명함에 '간호사 이OO'으로 표기한 간호조무사가 대한간호협회에 의해 고발당하는 일도 있었다.
간무사는 에 의거, 의사의 지도가 있다 하더라도 심전도검사, 혈액검사 등 의학적 검사의 수행은 할 수 없다. (보조만 가능. 예: 검사 기계 전원 켜기, 물품 준비)
6개월: 실습 (1/2)